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harAtCodeAt
- serializable
- 유효성검사
- clone coding
- Spring Boot
- kotlin
- SpringBootServletInitializer
- JPA
- SQLD
- charAt
- SQL개발자
- 클론코딩
- sortedby
- 문자열 처리
- 코딩테스트
- 코딩테스트입문
- 문자열 자르기
- 코테
- 릿코드
- 문제풀이
- 네카라쿠배당토
- 프로그래머스
- f-lab
- 2주의전사
- Gradle
- sortby
- slice
- 합격후기
- javascript
- SQLD공부법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4)
yoonix
🧩 개요Spring Boot를 공부하면서 SpringBootServletInitializer라는 클래스를 접하게 됐다.나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 프로젝트를 할 땐 web.xml을 설정하고 톰캣에 WAR을 배포하는 구조에 익숙했다.그래서 Spring Boot에서는 web.xml이 없다는 게 생소했고,대체 이 구조에서 “메인 메서드 역할”을 누가 해주는지,WAR 배포 시에는 어떤 설정이 필요한지 개념이 다소 모호하게 느껴졌다.이 글은 그런 궁금증을 정리한 일종의 회고이자,SpringBootServletInitializer의 필요성과 작동 방식을 JAR vs WAR 배포 구조 차이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Spring Boot는 왜 web.xml이 없을까?전자정부프레임워크(MVC2 기반)에서는 톰캣 같은 WA..
💡 개요우리 팀에서는 @Entity 클래스에 : Serializable을 기본으로 붙이는 컨벤션이 있다.막상 코딩할 땐 아무런 이상 없이 잘 돌아가지만,"왜 붙이는 걸까?", "안 붙이면 무슨 일이 생기는데?" 같은 의문이 남는다.이번 글에서는 Serializable의 개념과왜 JPA에서 사용하는지, 실제 어떤 경우에 꼭 필요한지를 간단히 정리해본다.🔍 Serializable이란? 자바 객체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바꿔주는 인터페이스→ 즉, 객체를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자격증" 같은 것 Kotlin/Java에서는 다음처럼 사용한다.data class User( val name: String, val age: Int) : Serializable Serializable..
🧩 Kotlin에서 리스트를 정렬하는 두 가지 방법Kotlin에서 리스트를 정렬할 때 sortBy와 sortedBy는 자주 사용되는 함수입니다.겉보기엔 비슷하지만,동작 방식과 사용 목적은 완전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함수의 차이를 예제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기본 개념 함수설명반환값원본 변경 여부sortBy { 키 }리스트 자체를 직접 정렬Unit✅ 바뀜sortedBy { 키 }정렬된 새 리스트 반환List❌ 안 바뀜 🔹 sortBy 사용 – 원본 직접 정렬userList.sortBy { it.user_name }println(userList) // 👉 이름순으로 정렬된 상태로 출력🔹 sortedBy 사용 – 새 리스트로 반환val newUserList = userList.sortedB..

SQL 개발자란? SQL 개발자(SQLD*, SQL Developer)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추출하는데 있어서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QL을 작성할 수 있는 개발자를 말한다. SQLD 자격증을 알게 된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드디어 합격을 하게 되어서 공부한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3번째 만에 합격했는데..! 사실은 1,2회차는 접수만 하고 회사일이 바빠서.. 응시조차 하지 못했다. 야근과 철야로 못간 시험... 그래도 이번에는 합격해서 너무 다행이다. 점수부터 보자면~ 사실 간당간당하게 합격해서 뭐 이렇게 자랑할 것도 아니지만 ^^,,, 2주만에 커트라인에 간당간당하게 합격한건 어떻게 보면... 가성비 좋았다고 봐..
클론코딩이라는 말을 취업 준비중인 개발자들 사이에서 많이 들은것 같다. 사이드 프로젝트, 토이프로젝트등을 준비하면서 클론코딩 방식으로 진행하려 한다고 할 때 맥락상으로 내가 이해한 것은 이미 있는걸 따라 만든다? 였다. 이번에 나 역시 Node.js 스터디를 만들고 프로젝트를 완성하기로 구성원들과 이야기 하면서 당근마켓을 클론코딩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렇다면 클론 코딩이란 뭘까? 클론 코딩(Clone Coding)은 이미 존재하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자인과 기능을 그대로 따라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즉, 원본 소스 코드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동일한 기능과 외관을 가진 사본을 만드는 것이다. 클론 코딩은 주로 학습 목적이나 프로토타입 제작, 실전 경험을 위해 사용되곤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웹사..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입문 > 문자열 정렬하기 (2) 문제 설명 영어 대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ing을 모두 소문자로 바꾸고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한 문자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0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입문 > 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문제 설명 🔹 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1 ≤ array의 길이 ≤ 100 🔹 0 ≤ array의 원소 ≤ 100,000 문제 풀기 전 생각 🔹 7이 들어간 걸 어떻게 셀까? > 정규식 공부했으니까 이걸로 풀어봐야겠다. 🔹 배열을 문자열로 만들어서 정규식 검사해야지 function solution(array) { var answer = 0; var str = ''; for(var i=0; i
자바 스크립트 문자열 자르기 코딩 테스트를 풀다보니 문자열을 잘라야 하는 과정이 참 많은 것 같다. 실제로 프로젝트에서도 많이 쓰긴 하지만 보통 substr, substring을 개발자 도구에서 적용해보면서 코딩을 하다보니 실제적으로 아는게 적은 것 같아서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 substring(startIndex, endIndex): 지정된 시작 인덱스에서 끝 인덱스 전까지 문자열을 추출합니다. const str = 'Hello, world!'; const subStr = str.substring(0, 5); // 'Hello' 🔹 startIndex: 추출을 시작할 인덱스. (필수 매개변수) 🔹 endIndex: 추출을 끝낼 인덱스 바로 직전까지. (선택 매개변수, 생략하면 문자열의 끝까지 추출..